반응형
기본적으로 표현 영역에서 필수값과 값의 형식을 검사하고 실직적으로 응용 서비시는 ID 중복 여부와 같은 논리적 오류만 검사하면 된다.
즉 표현 영역과 응용 서비스가 값 검사를 나눠서 수행하는 것이다.
표현영역 : 필수값, 값의 형식, 범위등을 검증
응용서비스 : 데이타의 존재 유무와 같은 논리적 오류를 검증
논의 대상
응용 서비스에서 얼마나 엄격하게 값을 검증해야하는지 의견이 갈리수 있다
응용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응용서비스에서 필수값 검증과 논리적인 검증을 모두 처리하면
표현영역에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검증기능을 수행할때보다 작성할 코드가 늘어나는 불편함이 있지만 반대로 응용 서비스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점이 더 크게 느껴진다고 생각하면 응용 서비스에서 값 오류를 검증하는 편이 좋다.
[참고서적]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2022 재출간판) p221 ~ 225
반응형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인커밍 포트에 대한 의견 (0) | 2022.05.14 |
---|---|
조회 전용 기능과 응용서비스와의 관계 논의 (0) | 2022.04.10 |
도메인 구현과 DIP (0) | 2022.04.08 |
[이슈 해결] JPA save 와 Stomp 메세지 처리 이슈 (0) | 2022.04.03 |
Reactive Kafka in Spring Kafka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