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AWS

EC2 탄력적 IP 설정

반응형

EC2로 서버를 구성하고 인스턴스를 구동하였을경우 해당 IP는 고정 IP가 아니다
인스턴스를 중지 또는 재실행 하였을경우는 해당 IP가 변경되는 일이 발생한다.
카카오맵이나 네이버 맵 사용시 서비스 IP등록하게 되있는데 위와 같은 일이 발생할경우 문제가 될수있어서 고정 IP로 설정이 필요하다.

EC2에서 탄력적 IP 설정을 통해 고정 IP를 할당 받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기존에 EC2 서버가 구성이 되있다는 전제로 설명한다.

1. EC2 Management Console에 접속한다.
2. 왼쪽 카테고리에서 탄력적 IP를 눌러 선택한다.

탄력적 IP 메뉴 선택

3. 탄력적 IP새주소 할당을 클릭한다.

4. 할당을 클릭한다.

위의 과정을 완료하면 탄력적 IP가 발급 된다.
이제 발급된 탄력적 IP와 EC2 주소를 연결해야된다.

5. 3번 과정에서 Actions에서 클릭하여 탄력적 IP 주소연결을 클릭한다.
    인스턴스에서 현재 구동된 인스턴스 이름을 선택하고 프라이빗 IP 주소를 선택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한다.

6. 좌측 카테고리의 인스턴스를 클릭하여 탄력적 IP가 인스턴스에 연결되있는지 확인한다.

인스턴스와 탄력적 IP 연결 확인


단 탄력적 IP를 생성하고 EC2 서버에 연결하지 않으면 비용이 발생한다.
생성한 탄력적 IP는 반드시 바로 EC2에 바로 연결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