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

(26)
EC2 탄력적 IP 설정 EC2로 서버를 구성하고 인스턴스를 구동하였을경우 해당 IP는 고정 IP가 아니다 인스턴스를 중지 또는 재실행 하였을경우는 해당 IP가 변경되는 일이 발생한다. 카카오맵이나 네이버 맵 사용시 서비스 IP등록하게 되있는데 위와 같은 일이 발생할경우 문제가 될수있어서 고정 IP로 설정이 필요하다. EC2에서 탄력적 IP 설정을 통해 고정 IP를 할당 받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기존에 EC2 서버가 구성이 되있다는 전제로 설명한다. 1. EC2 Management Console에 접속한다. 2. 왼쪽 카테고리에서 탄력적 IP를 눌러 선택한다. 3. 탄력적 IP새주소 할당을 클릭한다. 4. 할당을 클릭한다. 위의 과정을 완료하면 탄력적 IP가 발급 된다. 이제 발급된 탄력적 IP와 EC2 주소를 연결해야..
액세스할 수 있으려면 22 포트를 개방해야 할 수 있으므로 이 인스턴스에 연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안 그룹에 포트 22이(가) 열려 있지 않습니다. 잘사용하던 EC2에 맥북 터미널로 연결시 갑자기 아래와 같은 정보를 보여주며 접속이 되지를 않았다 ssh: connect to host ec2-52-91-106-118.compute-1.amazonaws.com port 22: Operation timed out EC2에 Mysql install 하고 외부 연결을 추가해주면서 보안그룹에 설정이 지워졌든가 한거같다 그래서 위와같을경우 처리 방법을 정리해본다. EC2 Management Console -> 네트웍 및 보안 - > 보안그룹 적용할 보안그룹을 선택후 인바운드 탭의 편집을 클릭한후 규칙 추가를 클릭후 아래와 같이 SSH를 추가 해준다. 참고로 MYSQL을 외부로 접속 하기 위해서도 아래와 같이 MYSQL 디폴드 포트인 3306을 인바운드 시켜줘야한..